츄잉~ chuing~
츄잉 신고센터 | 패치노트 | 다크모드
공지&이벤트 | 건의공간 | 로고신청N | HELIX
로그인유지
회원가입  |  분실찾기  |  회원가입규칙안내
확률밀도함수하고 누적분포함수는 어디에 쓰이나요?
다크로드 | L:0/A:0
112/250
LV12 | Exp.44% | 경험치획득안내[필독]
추천 1-1 | 조회 794 | 작성일 2023-05-23 20:44:39
[서브캐릭구경OFF] [캐릭컬렉션구경OFF] [N작품구경OFF]
*서브/컬렉션 공개설정은 서브구매관리[클릭]에서 캐릭공개설정에서 결정할수 있습니다.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확률밀도함수하고 누적분포함수는 어디에 쓰이나요?

확률 밀도 함수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확률 변수 X가 임의의 집합 B에 포함되는 사건의 확률을 다음과 같이 어떤 음이 아닌 함수 f의 적분으로 주어진다고 하면, 이 때 f(x)를 확률밀도함수라 한다.

$Pleft(Xin Bright) = int _B^{ }fleft(xright)dx$P(XB) = Bf(x)dx

좌변은 X가 B에 포함되는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의미한다. 우변은 f를 B위에서 적분한 값이다.

아래에서 이 식을 그래프로 표현해보았다.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누적 분포 함수는 확률변수가 특정 값보다 작거나 같을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특정 값을 a라 하면 누적분포함수 F(a)는,

$Fleft(aright) = Pleft(Xle aright) = int _{-infty }^afleft(xright)dx$F(a) = P(Xa) = af(x)dx

우변은 확률밀도함수 f를 a까지 적분한 값으로, a보다 작거나 같을 확률을 의미하게되고, F(a)와 같은 값을 가지게 된다. 이것도 아래에서 그래프로 표현해보았다.

확률밀도함수와 누적분포함수는 미분과 적분의 관계를 갖는다. 확률밀도함수를 a까지 적분하면 누적분포함수를 얻을 수 있고, 누적분포함수를 미분하면 확률밀도함수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수식으로만 보면 뭔 지는 알 것 같긴 하지만 딱 와 닿지가 않아서 그림을 그려보았더니 이해하기가 좋았다.

위의 그림에서 f(x)가 확률 밀도 함수이고, 가로축은 실수 R이다. R의 임의의 부분집합 B에서 f를 적분한 값이 빗금칠한 부분의 면적의 넓이가 되고, 그 면적의 넓이는 X가 B에 포함되는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같게 된다.

위의 그림은 확률밀도함수와 그에 따른 누적분포함수의 대략적인 모습을 그려본 것이다. 특정한 지점 a에서의 누적분포함수의 값 F(a)는 X가 a보다 작을 확률, 즉 확률밀도함수 f를 음의 무한대부터 a까지 적분한 값과 같게된다.

확률분포함수를 전체 범위에서 적분하면 1이 되므로, 누적분포함수는 양의 무한대로 갈수록 1로 수렴하게된다.


조금 더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시계바늘의 예시에 대해서 그림을 그려보았다.

위의 그림에서 X는 '시계 바늘을 임의로 돌리다가 멈추었을 때 시계바늘의 위치'로 정한 것이다.

(실제 시계에는 0이 없어서 조금 애매하지만, 12보다 아주 조금 큰 쪽을 0이라 생각하기로 하자..)

시계 바늘이 시계 전체에서 어디에 위치할 지는 어디에서든지 확률이 같을 것이므로 확률밀도함수는 상수함수일 것이다. 그래서 일단 가로로 직선 형태인 그래프를 그리고, f(x) = c 라 할 수 있다.

시계 바늘이 3과 4사이에 위치할 확률이 1/12라는 건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확률밀도함수를 3~4에서 적분한 값은 1/12이 되어야 할 것이고, 위의 그림에서 빗금친 부분의 넓이가 1/12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c = 1/12이 되고,

확률밀도함수는 f(x) = 1/12이 된다.

여기서 전체 범위는 0~12이므로 전체 범위에 대해 적분하면 1이 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그림은 누적분포함수를 그린 것이다. 아주 간단한 경우라서 누적분포함수의 정의(특정 값보다 작거나 같을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만을 이용해서 누적분포함수를 알 수 있다.

시계바늘의 위치가 12이하일 확률은 1,

6이하일 확률은 0.5,

3이하일 확률은 0.25,

1이하일 확률은 1/12,

이런식으로 생각해보면 누적분포함수는 기울기가 1/12인 직선으로, F(a) = (1/12)a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예시에서 누적분포함수와 확률밀도함수가 미분과 적분 관계를 갖는다는 사실도 확인 할 수 있다.

누적분포함수 F(a) = (1/12)a 를 미분하면 확률밀도함수 f(x) = 1/12 를 얻을 수 있고,

확률밀도함수 f(x) = 1/12를 a까지 적분하면 누적분포함수 F(a) = (1/12)a를 얻을 수 있다.

 
개추
|
추천
1
반대 1
신고
    
여보안경안보여
통계학과 경제학에서 요긴하게 쓰입니다
2023-05-23 20:52:53
[추천4]
[신고]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크로드
여담으로 다중우주 3단계 다세계해석에서도 확률밀도함수가 사용되나요.
2023-05-23 20:46:00
추천0
다크로드
코펜하겐 해석하고 확률밀도함수하고 어떤 관계인가요?
2023-05-23 20:48:28
추천0
다크로드
그리고 확률질량함수에 대해서도 설명해드릴 수 있나요.(확률밀도함수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2023-05-23 20:51:12
추천0
여보안경안보여
통계학과 경제학에서 요긴하게 쓰입니다
2023-05-23 20:52:53
추천4
다크로드
정말 고맙습니다.많은 것을 알아갑니다.
2023-05-23 20:57:40
추천0
연세대지망생
이거 대학수학인데
2023-05-23 21:14:03
추천1
다크로드
음.그렇군요.고맙습니다.
2023-05-23 21:22:45
추천0
itsej
이정도 내용은 확통만 해도 알지않나? 내가 몇년전에 확통할때 배운 내용들인데
2023-05-23 21:30:24
추천0
연세대지망생
난 미적이라;;
2023-05-23 21:35:15
추천0
다크로드
똑똑하신 분이군요!
2023-05-23 21:36:17
추천0
여보안경안보여
지금 미적 기하 확통 분리됨 ㅋㅋ 개병신 우민화정책
2023-05-23 21:36:33
추천0
심화이론
양자역학
2023-05-23 21:52:30
추천0
itsej
대충 물2+확통 선택하면 기초는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물2에서 코펜하겐 해석에서의 하이젠베르크 방정식의 의미가 나오거든요. 당연히 계산은 없으니까 그거 하려면 물리학과 츄라이 츄라이
2023-05-23 22:00:15
추천1
다크로드
알겠습니다.
2023-05-23 22:08:36
추천0
[L:84/A:149]
BadEnding
글 삭제하고 모를줄 아누? 그냥 느그 카페로 처 꺼지라고 버러지 ㅂ3ㅅ4아^^ 클론질은 느그카페에서나 쳐하라는 말은 못알아듣누? 92 나이는 헛먹었누^^
2023-12-30 17:03:28
추천0
의견(코멘트)을 작성하실 수 없습니다. 이유: 30일 이상 지난 게시물,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츄잉은 가입시 개인정보를 전혀 받지 않습니다.
  
즐겨찾기추가   [게시판운영원칙] | [숨덕모드 설정] |   게시판경험치 : 글 10 | 댓글 1
번호| |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조회
2586 일반  
호라이산 카구야 vs 이터니티(mcu) [4]
ㅁㅂ
2023-07-12 0-0 173
2585 일반  
호라이산 카구야가 역사를 만들 수 있다는 문구가 어디 있음? [4]
나무
2024-04-09 2-0 153
2584 일반  
호라이형님 추이 in 초인의 시대 [1]
강의
2022-06-05 0-0 174
2583 일반  
호랑나 사자는 잡을거면 타격으로 뭘 할 생각하면 안되지 ㅋㅋ [27]
대가리깨져도이학
2021-11-29 0-0 241
2582 일반  
호랑이 [1]
버클리신사
2015-12-21 0-0 188
2581 일반  
호랑이
캉캉
2019-08-31 0-0 149
2580 일반  
호랑이 > 곰
한이쁨
2018-02-18 0-0 90
2579 일반  
호랑이 > 곰 [1]
설정상
2018-01-22 0-0 104
2578 일반  
호랑이 > 곰 [4]
산군
2020-10-27 0-0 165
2577 일반  
호랑이 > 곰
산군
2020-11-01 0-0 74
2576 일반  
호랑이 > 곰 [10]
FAIRYTAIL
2021-03-02 0-0 113
2575 일반  
호랑이 > 곰
FAIRYTAIL
2021-03-11 0-0 83
2574 일반  
호랑이 > 곰
FAIRYTAIL
2021-10-20 0-0 119
2573 일반  
호랑이 > 곰 임 [4]
아니라고요
2017-09-06 0-0 212
2572 일반  
호랑이 > 곰인 이유
아크놀로기아
2024-04-26 0-0 128
2571 일반  
호랑이 > 인도코끼리 [3]
산군
2020-11-15 1-0 543
2570 일반  
호랑이 , 북극곰 vs 아웃라이더 [2]
주황버섯
2019-05-19 0-0 198
2569 일반  
호랑이 1000만 마리 vs 대한민국 육군 [9]
젤리삐
2019-05-24 1-0 525
2568 일반  
호랑이 1마리 vs 도사견 5마리 [6]
키스마스터
2017-02-09 0-0 784
2567 일반  
호랑이 1마리 vs 인간 [14]
꽉철이
2022-07-26 0-0 429
2566 일반  
호랑이 2마리 vs 곰 최약체 2마리 [5]
이데아
2021-08-16 0-0 289
2565 일반  
호랑이 2마리가 아프리카 생태계 파괴 시키는거 보소 [2]
산군
2018-01-22 0-0 185
2564 일반  
호랑이 3마리vs북극곰 [12]
아르나오더
2018-01-17 0-0 366
2563 일반  
호랑이 3마리면 코끼리 충분히 사냥하지 [3]
WhiteRudy
2018-01-25 0-0 163
2562 일반  
호랑이 5마리 vs 바이오 마다라 [3]
치토게홀릭
2015-08-17 0-0 324
      
<<
<
7071
7072
7073
7074
7075
7076
7077
7078
7079
7080
>
>>
enFree
공지&이벤트 | 접속문제 | 건의사항 | 로고신청 | 이미지신고 | 작품건의 | 캐릭건의 | 기타디비 | 게시판신청 | 클론신고 | 정지/패널티문의 | HELIX
Copyright CHUING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huinghelp@gmail.com | 개인정보취급방침 | 게시물삭제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