츄잉~ chuing~
츄잉 신고센터 | 패치노트 | 다크모드
공지&이벤트 | 건의공간 | 로고신청N | HELIX
로그인유지
회원가입  |  분실찾기  |  회원가입규칙안내
이게 뭔말임?????
하야타신 | L:0/A:0
7/510
LV25 | Exp.1% | 경험치획득안내[필독]
추천 0-1 | 조회 302 | 작성일 2021-02-04 11:04:35
[서브캐릭구경OFF] [캐릭컬렉션구경OFF] [N작품구경OFF]
*서브/컬렉션 공개설정은 서브구매관리[클릭]에서 캐릭공개설정에서 결정할수 있습니다.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게 뭔말임?????

위너 공간의 개념은 두 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 위너 공간은 그 측도의 푸리에 변환이 가우스 함수를 이룬다는 조건으로 추상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위너 공간은 힐베르트 공간으로부터 구체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푸리에 변환을 통한 정의[편집]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displaystyle Hsubseteq E}이므로

{displaystyle E^{*}subseteq H^{*}=H}

이며, E^{*}는 H의 조밀 집합을 이룬다. (여기서 {displaystyle (-)^{*}}는 연속 쌍대 공간을 뜻한다.)

만약

{displaystyle int _{E}exp(mathrm {i} langle lambda |xrangle ),mathrm {d} mu (x)=exp left(-{frac {langle lambda |lambda rangle _{H}}{2}}right)qquad forall lambda in E^{*}subseteq H}

라면, {displaystyle (E,mu ,H)}가 위너 공간이라고 한다.

구체적 정의[편집]

위너 공간의 개념은 힐베르트 공간으로부터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분해 가능 실수 힐베르트 공간 H 위의 기둥 집합의 족 {displaystyle operatorname {Cyl} (H)} 위에, 다음과 같은 유한 가법 측도를 정의할 수 있다.

{displaystyle nu colon operatorname {Cyl} (H)to [0,1]}
{displaystyle nu colon P^{-1}(S)mapsto (2pi )^{n/2}int _{S}exp(-x^{2}/2),mathrm {d} ^{n}xqquad (Pcolon Hto mathbb {R} ^{n},;Sin operatorname {Borel} (mathbb {R} ^{n}))}

특히,

{displaystyle nu (H)=1}
{displaystyle nu (varnothing )=0}

이다. 그러나 이는 가산 무한 가법성을 충족시키지 못해, 측도를 이루지 못한다. 즉, 이는 {displaystyle sigma (operatorname {Cyl} (H))=operatorname {Borel} (H)} 위의 (가산 가법) 측도의 제한이 아니다. 이를 H 위의 기둥 집합 측도(영어cylinder-set measure)라고 한다.

H 위의 (내적 노름과 다를 수 있는) 노름 {displaystyle |-|}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한 차원 부분 공간들의 열

{displaystyle V_{1}leq V_{2}leq dotsb leq H}

이 존재한다면, 이를 가측 노름(영어measurable norm)이라고 한다.

임의의 유한 차원 부분 공간 {displaystyle Wsubseteq H}에 대하여, 만약 {displaystyle Wperp V_{n}}이라면, {displaystyle nu ({xin Hcolon |operatorname {proj} _{W}x|>2^{-n}})<2^{-n}}이다.

H의, 어떤 가측 노름 {displaystyle |-|}에 대한 완비화인 바나흐 공간

{displaystyle Hsubseteq E}

가 주어졌다고 하자. {displaystyle B^{*}subseteq H^{*}cong H}이므로,

{displaystyle {Hcap Ccolon Cin operatorname {Cyl} (E)}subseteq operatorname {Cyl} (H)}

이다.

그렇다면, E의 기둥 집합의 족 {displaystyle operatorname {Cyl} (E)} 위에 다음과 같은 측도를 정의할 수 있다.

{displaystyle nu colon operatorname {Cyl} (E)to [0,1]}
{displaystyle nu colon phi ^{-1}(S)mapsto nu (Hcap phi ^{-1}(S))qquad forall phi colon Bto mathbb {R} ^{n}}

이는 {displaystyle operatorname {Cyl} (E)}로 생성되는 시그마 대수

{displaystyle sigma (operatorname {Cyl} (E))=operatorname {Borel} (E)}

위에 가산 가법으로 유일하게 확장될 수 있다. 즉, 이는 가측 공간 {displaystyle (E,operatorname {Borel} (E))} 위의 확률 측도를 이룬다. 그렇다면, {displaystyle (E,H,mu )}를 위너 공간이라고 한다.

성질[편집]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유계 범함수 {displaystyle phi in E^{*}}에 대하여, mathbb {R}  위의 측도 {displaystyle phi _{*}mu }의 분포 함수는 평균이 0인 mathbb {R}  위의 정규 분포에 비례한다. 즉, 다음과 같은 꼴이다.

{displaystyle mu (phi ^{-1}(S))=int _{S}Cexp(-x^{2}/2sigma ^{2}),mathrm {d} x,qquad (Cgeq 0,;sigma ^{2}>0)}

또한, 만약 {displaystyle phi neq 0}라면, C>0이다.

존재[편집]

임의의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 E에 대하여, 그 위의 위너 공간 구조 {displaystyle (mu ,H)}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3]:Theorem 4.47

페일리-위너 적분[편집]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displaystyle E^{*}subseteq Hsubseteq E}

가 성립한다. 또한,

{displaystyle E^{*}subseteq operatorname {L} ^{2}(E,mu ;mathbb {R} )}

임을 보일 수 있으며, 다음이 성립한다.

{displaystyle |phi |_{operatorname {L} ^{2}(E,mu ;mathbb {R} )}={sqrt {langle phi |phi rangle _{H}}}}

다시 말해, 등거리 변환인 선형 변환

{displaystyle E^{*}to operatorname {L} ^{2}(E,mu ;mathbb {R} )}

이 존재한다. E^{*}는 H의 조밀 집합이므로, 이를 H 전체로 확장할 수 있다. 즉, 등거리 변환인 단사 선형 변환

{displaystyle Icolon Hto operatorname {L} ^{2}(E,mu ;mathbb {R} )}

이 존재한다. 이를 페일리-위너 사상(영어Paley–Wiener map)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서, 임의의 hin H 및 xin E에 대하여

{displaystyle I_{h}(x)in mathbb {R} }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페일리-위너 적분(영어Paley–Wiener integral)이라고 한다.

캐머런-마틴 정리[편집]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 및 hin H에 대하여, 다음을 정의하자.

{displaystyle (+h)colon Eto E}
{displaystyle (+h)colon xmapsto x+h}

그렇다면, E 위의 보렐 확률 측도

{displaystyle mu _{h}=(+h)_{*}mu colon operatorname {Borel} (E)to [0,1]}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라돈-니코딤 도함수

{displaystyle {frac {mathrm {d} mu _{h}}{mathrm {d} mu }}}

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frac {mathrm {d} mu _{h}}{mathrm {d} mu }}=exp left(I_{h}(x))-{frac {1}{2}}langle h|hrangle right)}

여기서 {displaystyle I_{h}(x)}는 페일리-위너 적분이다. 이를 캐머런-마틴 정리(영어Cameron–Martin theorem)라고 한다.

연산[편집]

두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displaystyle (E',mu ',H')}가 주어졌을 때, {displaystyle (Eoplus E',Hoplus H')} 위에 다음 조건으로 결정되는 위너 공간 구조가 존재한다.

{displaystyle mu (Stimes S')=mu _{E}(S)mu _{E'}(S')qquad forall Sin operatorname {Borel} (E),;S'in operatorname {Borel} (E')}

[편집]

만약 H가 유클리드 공간(즉, 유한 차원 힐베르트 공간)이며, {displaystyle H=E}라고 하자. 이 경우, H 위의 위너 공간 구조의 개념은 H 위의, 평균이 0인 정규 분포와 같다.

고전 위너 공간[편집]

다음과 같은 바나흐 공간을 생각하자.

{displaystyle {mathcal {C}}_{0}^{0}([0,T],mathbb {R} ^{n})={fin {mathcal {C}}^{0}([0,T],mathbb {R} ^{n})colon f(0)=0}}
{displaystyle |f|_{{mathcal {C}}_{0}^{0}([0,T],mathbb {R} ^{n})}=max _{[0,T]}|f|_{mathbb {R} ^{n}}}

그렇다면, 그 속에 다음과 같은 부분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displaystyle operatorname {W} _{0}^{1,2}left([0,T],mathbb {R} ^{n}right)=operatorname {W} ^{1,2}([0,T],mathbb {R} ^{n})cap {mathcal {C}}_{0}^{0}([0,T],mathbb {R} ^{n})={fin {mathcal {C}}_{0}^{0}([0,T],mathbb {R} ^{n}),;mathrm {d} f/mathrm {d} tin operatorname {L} ^{2}([0,T],mathbb {R} ^{n})}}

여기서 {displaystyle operatorname {W} ^{1,2}(-)}는 소볼레프 공간이다. 즉, 이 부분 공간의 원소는 거의 어디서나 1차 도함수를 가지며, 그 1차 도함수는 르베그 공간 {displaystyle operatorname {W} _{0}^{1,2}([0,T],mathbb {R} ^{2})}의 원소이다. (도함수의 L2 노름의 제곱은 에너지라고 하며, 따라서 {displaystyle operatorname {L} _{0}^{2,1}}의 원소는 유한 에너지 경로(영어finite-energy path)라고 한다.) 이는 조밀 집합이며, 그 위에 다음과 같은 힐베르트 공간 구조를 줄 수 있다.

{displaystyle langle f,grangle _{operatorname {L} _{0}^{2,1}left([0,1],mathbb {R} ^{n}right)}=int _{0}^{T}langle {dot {f}}(t),{dot {g}}(t)rangle _{mathbb {R} ^{n}},mathrm {d} t}

이제, 임의의 확률 공간 Omega  및 위너 과정

{displaystyle (W_{t}colon Omega to mathbb {R} ^{n})_{tin [0,T]}}

을 생각하자. W의 궤적은 거의 확실하게 연속 함수이므로, 그 궤적들의 확률 분포는 {displaystyle {mathcal {C}}_{0}([0,T],mathbb {R} ^{n})} 위의 측도를 정의한다. 즉, 임의의 보렐 집합 {displaystyle Ssubseteq {mathcal {C}}_{0}^{0}([0,T],mathbb {R} ^{n})}에 대하여,

{displaystyle mu (S)=Pr(Win S)}

로 놓는다.

그렇다면, {displaystyle ({mathcal {C}}_{0}^{0}([0,T],mathbb {R} ^{n}),mu ,operatorname {L} _{0}^{2,1}left([0,1],mathbb {R} ^{n}right))}는 위너 공간을 이룬다. 이를 고전 위너 공간(古典Wiener空間, 영어classical Wiener space)이라고 한다.

브라운 다리[편집]

원을

{displaystyle mathbb {S} ^{1}=[0,1]/(0sim 1)}

로 정의하자.

L 노름을 가진, 초가 값이 주어진 주기 함수들의 바나흐 공간

{displaystyle E={mathcal {C}}_{0}^{0}(mathbb {S} ^{1},mathbb {R} ^{n})={fin {mathcal {C}}^{0}(mathbb {S} ^{1},mathbb {R} ^{n})colon f(0)=f(1)=0}}

을 생각하자. 이 위에, 부분 공간

{displaystyle H=operatorname {W} _{0}^{1,2}(mathbb {S} ^{1},mathbb {R} ^{n})=operatorname {W} ^{1,2}(mathbb {S} ^{1},mathbb {R} ^{n})cap E}

을 생각하자. 이는 내적

{displaystyle langle f,grangle =oint {dot {f}}{dot {g}}}

에 의하여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

E 위에, 확률 과정

{displaystyle X_{t}=W_{t}-tW_{1}}

의 법칙으로 주어지는 확률 측도를 부여하자. 여기서 {displaystyle W_{t}}는 위너 과정이다. 그렇다면, {displaystyle (E,H)}는 위너 공간을 이룬다.[3]:§4.4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위너 공간 구조[편집]

분해 가능 힐베르트 공간 H 및 에르미트 양의 정부호 힐베르트-슈미트 작용소 {displaystyle Acolon Hto 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노름

{displaystyle |x|_{A}=langle Ax|Axrangle _{H}}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가측 노름임을 보일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정의된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에서 E 역시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3]:Corollary 4.62 반대로, 임의의 위너 공간 {displaystyle (E,mu ,H)}에서 E가 힐베르트 공간이라면, 이는 항상 위와 같은 꼴로 표현된다.

개추
|
추천
0
반대 1
신고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L:33/A:602]
마리오
2021-02-04 11:38:00
추천1
[L:33/A:602]
마리오
2021-02-04 11:38:09
추천1
의견(코멘트)을 작성하실 수 없습니다. 이유: 30일 이상 지난 게시물,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츄잉은 가입시 개인정보를 전혀 받지 않습니다.
  
즐겨찾기추가   [게시판운영원칙] | [숨덕모드 설정] |   게시판경험치 : 글 10 | 댓글 1
번호| |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조회
105281 일반  
근데 진지하게 십미 미수옥 이런게 오롱코스 빔보다 쎈거에요??? [3]
에메랄드
2021-02-18 0-0 233
105280 일반  
철구야는 타츠 > 오롱코스 > 10초 제노스컽 [4]
l암애투신살
2021-02-18 0-0 764
105279 일반  
세포단위? [3]
캉캉
2021-02-18 0-0 363
105278 일반  
또 사이타마 ㅋㅋ [16]
캉캉
2021-02-18 0-0 410
105277 일반  
양규>좆순신 반박받음
디지몬
2021-02-18 2-0 65
105276 일반  
공명정대하신 쾌걸님께서 딱 정리해주시는 나루토VS원펀맨 정리.txt [6]
쾌걸고케츠
2021-02-18 8-0 424
105275 일반  
[전생검신] 나인교주 대표불사유형
넷마블
2021-02-18 2-0 280
105274 일반  
[전생검신] 할치올레이푸라 불사유형 [4]
넷마블
2021-02-18 2-0 423
105273 일반  
[갓 오브 하이스쿨] 칠주인 재생
제아봉침
2021-02-18 2-0 990
105272 일반  
[전생검신] 신좌 출신 지배자 명단및 불사유형 간략설명 [15]
넷마블
2021-02-18 2-0 613
105271 일반  
[타입문] 티아마트 불사 분류 [2]
제아봉침
2021-02-18 2-0 532
105270 일반  
양규>좆순신 반박받음 [2]
디지몬
2021-02-18 2-0 220
105269 일반  
토리코 헤라클은 재생력 몇 티어임? [7]
바사삭
2021-02-18 0-0 428
105268 일반  
운동에너지 주의사항 [3]
제아봉침
2021-02-18 2-0 596
105267 일반  
나노하 정도면 나루토에서 어느정도? [3]
바사삭
2021-02-18 0-0 454
105266 일반  
카구야가 메버 첫타 버틴다 vs 못버틴다 [3]
l암애투신살
2021-02-18 0-0 158
105265 일반  
환술 = 차크라 및 경락계는 범용 에너지가 아니라서 호환불가 [3]
l암애투신살
2021-02-18 0-0 210
105264 일반  
가가기의 검무 [12]
아테나
2021-02-18 7-0 504
105263 일반  
나루토는 1부 조로랑 술래잡기 해야됨
l암애투신살
2021-02-18 0-0 157
105262 일반  
그냥 싹다 환술걸리고 끝인데 뭔 싸움이 필요함? [2]
가가기
2021-02-18 0-0 128
105261 일반  
지능 티어표가 만들어진다면 나루토는 [12]
반도의군인
2021-02-18 4-0 522
105260 일반  
2차창작 경연대회 어떰 [9]
영수맨
2021-02-18 2-0 334
105259 일반  
이벤트로 육성 토론 말고 채팅방을 만들어줘라 [6]
이이이잉잉
2021-02-18 0-0 156
105258 일반  
매블 오랜만에보는데 이게뭐냐 [6]
제아봉침
2021-02-17 2-0 447
105257 일반  
티어권표 내가 만들어옴 브게에서 유명한것만 [9]
가가기
2021-02-17 0-0 341
      
<<
<
2961
2962
2963
2964
2965
2966
2967
2968
2969
2970
>
>>
enFree
공지&이벤트 | 접속문제 | 건의사항 | 로고신청 | 이미지신고 | 작품건의 | 캐릭건의 | 기타디비 | 게시판신청 | 클론신고 | 정지/패널티문의 | HELIX
Copyright CHUING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huinghelp@gmail.com | 개인정보취급방침 | 게시물삭제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