츄잉~ chuing~
츄잉 신고센터 | 패치노트 | 다크모드
공지&이벤트 | 건의공간 | 로고신청N | HELIX
로그인유지
회원가입  |  분실찾기  |  회원가입규칙안내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13)
에단헌트 | L:0/A:0
249/290
LV14 | Exp.85% | 경험치획득안내[필독]
추천 1-0 | 조회 263 | 작성일 2020-06-27 00:01:10
[서브캐릭구경OFF] [캐릭컬렉션구경OFF] [N작품구경OFF]
*서브/컬렉션 공개설정은 서브구매관리[클릭]에서 캐릭공개설정에서 결정할수 있습니다.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13)

 

 


"그래 잘 쏜다!

 이번엔 위쪽 안테나. 쏘아!"

 

 

 

 

 

 

 

 

 

 


최태현 소좌가

신이 나서 외쳤다. 


4연장 23밀리 고사포가

초당 66발씩 탄환을 쏟아내자


묘코는 순식간에

이곳저곳이 벌집이 됐다. 


부조장 옆에서 묘코를 조준하고 있던

다른 조원은

먼저

함교에

정면으로 대전차미사일을 먹이고

다음엔

접시형 안테나가 달린

후방 구조물을 노렸다.


대전차미사일이 날아가는 동안

걱정했던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


함교에 두 방,

후방 구조물에 한 방을 먹이는 사이에 

거리가 가까워졌고

기관포가 다시 불을 뿜었다.

 

 

 

 

 

 

 

 

"이번엔 함교 바로 아래,

 불쑥 튀어나온 벽이야."


"저도 압네다,

 대장님.

 이지스 레이더 앙입네까?"

 

 

 

 

 

 

 

부조장이

기관포를 신나게 발사하기 시작했고

발사진동이 심한지

그의 턱이 덜덜 떨렸다. 


녹색 예광탄 줄기 네 개가

좌우로 빨랫줄처럼 팽팽하게 날아가

함교 아래쪽에 꽂히자

폭발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방전이 됐는지

여기저기서 스파크가 일었다.


그렇게

불의의 기습을 당한

이지스함 묘코는

상부 구조물 위에 있는 레이더와 안테나가 얻어맞자

눈 뜬 장님이 되어 버리고

함포도 레이더로 작동하는 자동포이기에

추적용 레이더가 기관포탄에 맞자

무용지물이 되었다.


대공레이더와

이지스 레이더,

위성통신 안테나와

추적용 레이더까지 깨끗하게 쓸어버리자,

부조장은

명령을 기다릴 것도 없이

함교 앞쪽에 붙은 팰링스 포탑을 향해 갈겨대기 시작했다.

 

 

 

 

 

 

 

 

 

 


"저놈이 불을 뿜으면 앙이 되디요."


"그래 쏘아!

 쏘아!

 벌집을 만들어버라우!"

 

 

 

 

 

 

 

 

 

 


최태현 소좌는

이지스함 묘코에서 반격이 없자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문일호 소좌팀이 담당한 히에이 쪽 상황을 살폈다.


몇백 미터 떨어진 아타고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제 3 호위함대의 기함이자

아타코 클래스 이지스 구축함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구축함 아타고는

함체에 예광탄 줄기가 수없이 꽂히고도 반응이 없었다.


정신 차린 함수의 2번포가

문일호 소좌팀의 어선을 향해 포탑을 돌렸지만

포대장은

조준도 하기 전에 불벼락을 맞았다.


관측용 창을 통해서

23밀리 고사포탄이 20여 발이나 쏟아져 들어갔고,

폭발이 일어나면서

그의 몸은 산산조각이 나버렸다.


다시 1번포를 향해 불을 뿜는 사이에

날카로운 파열음과 함께 포탄이 날아왔다.


그렇게

아타고를 갈기고 있는 문 소좌팀의 반잠수정 옆에

하얗게 물기둥 서너 개가 치솟기 시작하고,

작은 반잠수정이

파도에 심하게 출렁거리며 물벼락을 뒤집어썼다.


3km 떨어진

1500톤급 호위함 요시노에서

76밀리 포가

이제서야 상황을 파악하고

다급하게 불을 뿜은 것이다.

 

 

 

 

 

 

 

 

 


"가이 새끼들!

 저놈부터 해치우라야!"

 

 

 

 

 

 

 

 

 

 


부조장이 기관포를 돌려

호위함 요시노를 향해 쏘기 시작했다. 


4연장 23밀리 포가 불을 뿜자

예광탄 줄기가 타원을 그리며

표적에 미치지 못하고 바다로 떨어졌다.


다시 편차수정을 위해

표적위로 조준했지만


이번엔

그 근처의 다른 배들이

이제서야

아타고와 묘코가 기습 공격을 받았다는

모든 사실을 알아 버리자,

 

곧바로,

주위 호위함들에서

76밀리 속사포탄이 날아오기 시작하고


상대적으로

텅 빈 바다위에 있던 문 소좌팀 반잠수정이

십자포화를 맞기 시작하자

반잠수정은 속사포가 일으킨 물기둥에 갇혀 꼼짝 못하고


갑판 여기저기에

기관포탄이 박히면서

불길과 연기에 휩싸이기 시작했다.

 

 

 

 

 

 

 

 


"틀렸습네다.

 피해야 되갔시오!"

 

 

 

 

 

 

 

 

부조장이 외치면서

다시 조준을 한 후

요시노의 함포를 노렸다.


검은 바다 위로

흐릿하게 보이는 실루엣을 조준하는 동안

최태현 소좌는

다급하게 키를 잡은 조원을 향해서

 

 

 

 

 

 

 

"좌현으로!

 묘코 쪽으로 가자.

 장님 곁에 숨는다."

 

 

 

 

 

 

 

 

라고 명령을 내리고


그러는 동안

또 한 번 불꽃줄기가 뻗어나가며

요시노를 향했다.


함수에 예광탄이 꽂히자

다시 포신을 당겨올리는 동안

반잠수정이 최고속도로 나아가자

함수가 출렁이며 포구가 위를 향했다.

 

 

 

 

 

 

 

 

"계속 쏘아!

 계속!"

 

 

 

 

 

 

 


배가 안간힘을 쓰며

묘코 옆으로 다가가는 동안

기관포가 계속 불을 뿜었다.


시속 50노트로 속력을 낼 수 있는 반잠수정이었지만

호위함들이 발사한 포탄이

선수 바로 아래 옆에 떨어져

거대한 물기둥의 벽이

그들이 탄 반잠수정 앞에 장막을 쳤다.


갑판에 뒹구는 최태현 소좌 위로

물벼락이 쏟아지고

부하 한 명이

파도에 휩쓸려 바다에 떨어지는 것이

그의 눈에 보였다.


서둘러 일어나

부하가 빠진 곳을 살폈지만

그곳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그렇게

반잠수정이 연기를 뿜어내면서

다시 있는 힘을 다해서 묘코 쪽으로 접근하는데

부조장이 외쳤다.

 

 

 

 

 

 

 

 

 

"동무!

 잠깐만 서 주십쇼!

 한 방 먹일 수 있습네다!"


"망할!

 이판사판이다.

 감속해!"

 

 

 

 

 

 

 

부서진 선수로 물이 들어와서

반잠수정이 앞쪽으로 기울었다.


출력을 줄이면서

출렁임이 멈추고

서서히 앞으로 밀려가는 사이

부조장이

다시 기관포를 조준했다.


예광탄 줄기가

다시 뻗어나가서

요시노의 뱃머리에 맞자 불꽃이 튀었다.


정지하는 배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기관포탄이 날아가고

나머지는

공산오차가 해결했다.


함포에 포탄이 박히기 시작하고

연약한 방탄유리로 가려진 주포 조종실은

순식간에 풍비박산이 나버렸다.

 

 

 

 

 

 

 


"겨우 막았군..."

 

 

 

 

 

 

 

 

 


최태현 소좌가 한숨을 내쉰 후

문일호 소좌의 배를 찾았지만

그 자리엔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


반잠수정을 다시 가속시키고

이지스함 묘코 옆으로 바짝 붙였다.


이 거대한 함은 조용했지만

곧 움직이기 시작했다.


눈이 멀고

귀가 먼 묘코가

서서히 움직이자

최 소좌의 반잠수정도 따라 움직였다.


이지스함 묘코가 눈이 멀고,

아직 묘코의 함교 위로

아무도 올라오지 않은 것이 다행이었다.


최 소좌의 정찰병들은

남쪽을 향해 움직이는 배를 따라 

언제 끝날지 모를 휴식을 가지면서

서서히

이지스함 묘코를 따라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렇게

얼마나 지났을까.


처량한 눈빛으로

자신들을 바라보는 정찰병들을 바라보던

최소좌는

곧 단호한 모습으로

 

 

 

 

 

 

 

 

 

"김 상위!

 뭐하는 기야?

 날래 잠수복이나 준비하라우!"

 

 

 

 

 

 

 

 

그렇게 최태현 소좌가

갑판에 미리 준비된 잠수복으로 갈아입으려 하자


부하들이

암담한 표정을 짓기 시작하고


부조장이

항의 비슷하게

기어 들어가는 목소리로 물었다.

 

 

 

 

 

 

 

 


"함경남도 신포까지 헤엄쳐 가실 생각이십네까?"

 

 

 

 

 

 

 

 

ZSU-23-4 쉴카

1. 제원[편집]

 

ЗСУ-23-4 ≪Ши?лка≫, Шилка (ЗСУ)

 

제원
무게: 19톤
전장: 6.535m
전폭: 3.125m
전고: 2.576m(레이더 수납 시), 3.572m(레이더 전개 시)
승무원: 4명(차장, 운전수, 사수, 레이더병)
23mm 2A7 기관포 4문 2.000발 탑재
V-6R 디젤엔진 280마력
속도: 50km
항속거리: 450km
 


구 소련군, 러시아군의 자주대공포. 경전차 PT-76의 차대에 23mm 대공포 ZU-23의 4연장을 올려놓은 물건이다. 이름은 러시아 치타주의 쉴카강에서 유래하였다. 식별명인 ZSU-23-4의 의미에서 ZSU는 러시아어의 '자주대공포'(Zenitnaya Samokhodnaya Ustanovka), 23은 쉴카의 기관포의 구경인 23mm, 4는 4연장(포신의 개수)을 의미한다.

ZSU-37-2 예니세이와 경쟁하여 채택된 자주대공포이다.

흔히 국내에는 '쉴'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나, 러시아어의 외래어 표기법상 '실'카가 정확하다. '쉬'라는 표기 자체가 허용되지 않기 때문. 자세한 내용은 쉬 문서를 참고하자.

2. 개발사[편집]

쉴카는 1962년 최초로 등장하였다. 이전에 소련군은 위엄쩌는 57mm 2연장 대공기관포를 탑재한 ZSU-57-2라는 자주대공포를 운용했는데(위의 사진)[1], 57mm라 위력은 확실했지만 그만큼 포탄을 많이 탑재하지도 못했다. 또한 개발시기가 개발시기였기에 레이더를 탑재하지 않고 있어서, 기동간 사격이 곤란했고 정확한 대공사격이 어려웠다고 한다. 이러한 ZSU-57-2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ZSU-23-4 쉴카다. 쉴카는 1965년 최초로 운용을 시작하였고 1970년대에는 ZSU-57-2를 완전히 대체하였다. 참고로 쉴카의 차체는 PT-76 수륙양용 경전차의 차체를 이용한 것이다.

쉴카의 주무장인 23mm 2A7 4연장 대공기관포는 분당 약 4,000발의 발사속도를 자랑하며 주야간, 전천후 임무가 가능했다. 23mm 기관포는 각 포신마다 별도의 탄약 벨트가 있어서 4개의 포신중 4개를 발사하거나 1개의 포신을 발사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초기형에서는 23mm 기관포를 연속으로 발사할시 기관포가 과열되어 폭발하기도 했다.아니 연사하라 만든 기관포가 연사를 못한다니, 정비공양반 이게 무슨소리요! 이 문제는 ZSU-23-4M형에 와서 개선된다. 정비 문제도 만만치 않았다. 기관포를 따로 떼어서 정비하기도 쉽지 않았고 기관포의 전력공급 장치 부분은 차체의 하부에 있어서 잘 고장났다.

다만 쉴카의 발전기는 매우 신뢰성이 있었고 엔진과 냉각수의 교체는 비교적 쉬운 편이었다. 기본적으로 NBC 방호가 되어있어 에어필터링시스템, 소화장비, TNA-2 항법장치, 적외선 장치, R-123 라디오, R-124 인터콤 DG4M-1 보조가스터빈엔진, 직류발전기 등이 탑재되었다.


쉴카의 23mm 기관포는 RPK-2 "Tobol" 레이더로 통제되며 RPK-2 레이더는 20km 밖의 대공 목표를 탐색, 추적할 수 있다. 나름대로 전자전에 대한 대비도 되어있었다. 하지만 60미터 이하의 목표물에 대해서는 지상의 잡동사니들을 탐지하기도 했다. 거기에 한술 더떠서는 7km 이내의 목표물은 자동 추적하기도 어려웠다.

23mm 2A7 기관포는 BZT 철갑소이탄, OFZT 고폭 파편탄을 사용하였다. BZT는 400미터에서 약 25mm의 장갑을 관통할 수 있다. 발사속도가 빠른 기관포를 탑재한 자주대공포인 만큼 지상의 차량, 보병, 장갑차에게는 저승사자와도 같은 위력을 발휘했다.

여담이지만 1983년 소련의 아스트로 피지카 설계국에서 쉴카의 차대로 레이저 방공화기를 만든 적이 있었다.?#

3. 실전 사례[편집]

현재까지 제작된 자주대공차량중 실전 전적 하나만큼은 쉴카가 가장많다. 중동전쟁 당시 고공으로 날아오는 대공미사일을 피해 저공으로 비행하거나, 꼬리에 붙은 미사일을 피하려고 기동하던 이스라엘군 전투기들은 대부분 쉴카의 사격에 의해 격추당했고, 고공으로 비행하던 전투기들은 대공미사일에 맞으면서 이스라엘 공군의 작전을 크게 방해해서 이스라엘 공군한테는 저승사자가 따로 없었다. 제트기 시대에 대공기관포가 무슨 소용이냐고 생각하던 이스라엘과 미군은 크게 놀랐고, 손실률을 계산해 보고 만약 미국과 소련간에 전면전쟁이 났을때 이런 손실률이 지속되면 미국은 일주일 만에 전술기 대부분을 손실한다고 나왔을 정도. 때문에 더욱 스텔스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그런가 하면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는 의외로 지상공격에 매우 호평을 받았는데, 적군이 산발적으로 숨은 게릴라들이라 전차나 장갑차들이 대응하기 힘든 상황에서, 높은 발사속도로 적이 있으리라 예상되는 지역을 쓸어내거나, 최소한 도망치게라도 만드는 효과가 있었다고…. 거기다가 원래 대공포로 만들어진 물건이다 보니 총신의 각도 조정이 용이하여 산악지역인 아프간 지형에서 요긴하게 쓰였다고 한다. 또한 아프간 게릴라들이 항공기를 가졌을 리는 없으니 그냥 정비거리만 늘리는 레이더를 떼버리고 무게를 줄인 "아프간스키"이놈스키라는 현지 개량형도 등장했다.

2차 체첸 전쟁 때는 아프간과 1차 체첸 전쟁에서 피똥 싼 것을 반영해 체첸의 수도 그로즈니에 전차를 대신해 상당수 투입되기도 했다. 어차피 그로즈니 시가전에서 러시아 기갑부대가 상대할 적은 대전차 보병이 대부분이라서 쉴카 같은 방공차량이 더 효율적이었다고 한다. 시가전에서 건물에 매복한 게릴라에 대한 제압사격을 실시할 때, 사각이 상대적으로 나쁜 전차보다 대공포의 특성상 고각사격이 가능하고, 높은 발사속도와 지속사격으로 인해 아군의 엄호사격용도로 매우 효과를 톡톡히 봤다.


4. 현재[편집]

쉴카는 약 6,500여대가 생산되어 수많은 공산권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중동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걸프전, 체첸전 등의 실전에서 많은 항공기를 격추시켰고, 지금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러시아 같은 국가에서는 기관포의 짧은 사거리를 보완하고자 이글라같은 대공 미사일을 별도로 장착하여 쓰기도 한다. 하지만 기관포의 한계가 있는지라 러시아군은 처음부터 기관포와 미사일을 함께 장비한 퉁구스카 대공 장갑차를 만들게 된다.

북한은 소련에서 쉴카를 도입하였으나, 중장갑과 장사정 대전차미사일을 사용하는 주한미군의 AH-64 아파치, A-10 등에 대응하여 쉴카의 23mm 기관포에 비해 사거리와 파괴력이 더 높은 30mm 쌍열 주포로 교체한 M-1992를 배치하였다.

한편, 특유의 형태와 포가 4개나 달린 위용 때문에 영화에도 꽤나 자주 등장한다. 대부분 악역으로(…). 때문인지 팬도 많은 차량이다. 각종 업그레이드가 되는 추세인데, 이 업그레이드된 차량이 또 간지폭풍.

5.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의외로 인지도가 있는 탓인지 많은 곳에서 등장한다. 편의상 가나다순으로 기제한다.

게임 월드 인 컨플릭트에 소련의 미디움 안티 에어 병과로 등장. 캠페인 첫 인트로 영상 중에 뉴스용 헬기에게 자비없이 대공포를 쏴갈겨 헬기를 격추시키는 장면이 나온다.

게임 워 썬더에도 등장, 항공전 유저들의 악몽이 되어간다.

6. 프라모델[편집]


최근에 1/35 스케일로 초기형 ZSU-23-4 쉴카를 발매했다. 조립성과 품질은 나쁘지 않다만 가격이 무려 7만원대다! 궤도는 일반적으로 운용되는 폭이 얇은 궤도다.


드래곤 모델
1/35 스케일로는 사실 멩 모델보다 먼저 1995년 경 당시 드래곤 모델이 쏟아내던 소련군 차량 시리즈에 포함되서 나온바 있다. 현재는 단종된 지 오래.

 

[1] 미국에서는 1970~80년대에 비슷한 성격의 무기로 40mm 2연장 대공기관포를 탑재한 M247 서전트 요크를 개발하였지만 제공권 장악에 자신있는 천조국답게 그냥 캔슬. 레이더의 신뢰성 문제도 있고 해서 생산수는 고작 50대뿐이었고 공군 폭격훈련용 표적으로 재활용...

 

 

 

 

 

 

 

 

 

 


 

개추
|
추천
1
반대 0
신고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의견(코멘트)을 작성하실 수 없습니다. 이유: 30일 이상 지난 게시물,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츄잉은 가입시 개인정보를 전혀 받지 않습니다.
즐겨찾기추가   [게시판운영원칙] | [숨덕모드 설정] |   게시판경험치 : 글 10 | 댓글 1
번호| |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조회
401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16)
에단헌트
2020-06-28 1-0 171
400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15)
에단헌트
2020-06-28 1-0 156
399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19)
에단헌트
2020-06-30 1-0 105
398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14)
에단헌트
2020-06-27 1-0 133
397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12)
에단헌트
2020-06-26 1-0 111
396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10)
에단헌트
2020-06-25 1-0 132
395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9)
에단헌트
2020-06-25 1-0 112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13)
에단헌트
2020-06-27 1-0 263
393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8)
에단헌트
2020-06-24 1-0 148
392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5)
에단헌트
2020-06-23 1-0 143
391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4)
에단헌트
2020-06-22 1-0 591
390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3)
에단헌트
2020-06-22 1-0 76
389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2)
에단헌트
2020-06-21 1-0 130
388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1)
에단헌트
2020-06-21 1-0 112
387 나혼렙  
광휘의 그림자 몰아보기 10 ~ 14화 - 完 [1]
에르온
2020-06-20 1-1 221
386 소아온  
스포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프롤로그 완 )
에단헌트
2020-06-20 1-0 105
385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프롤로그 7)
에단헌트
2020-06-20 1-0 247
384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프롤로그 6)
에단헌트
2020-06-19 1-1 159
383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프롤로그 5)
에단헌트
2020-06-19 1-1 88
382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프롤로그 4)
에단헌트
2020-06-18 1-1 80
381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프롤로그 3)
에단헌트
2020-06-18 1-1 167
380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2 일본 본토 전 (프롤로그 1)
에단헌트
2020-06-17 1-1 148
379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완)
에단헌트
2020-06-16 1-1 99
378 소아온  
스포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138) [5]
에단헌트
2020-06-15 1-1 240
377 소아온  
소드 아트 온라인 인피니티 워 (137)
에단헌트
2020-06-15 1-1 124
      
1
2
3
4
5
6
7
8
9
10
>
>>
enFree
공지&이벤트 | 접속문제 | 건의사항 | 로고신청 | 이미지신고 | 작품건의 | 캐릭건의 | 기타디비 | 게시판신청 | 클론신고 | 정지/패널티문의 | HELIX
Copyright CHUING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huinghelp@gmail.com | 개인정보취급방침 | 게시물삭제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