츄잉~ chuing~
츄잉 신고센터 | 패치노트 | 다크모드
공지&이벤트 | 건의공간 | 로고신청N | HELIX
로그인유지
회원가입  |  분실찾기  |  회원가입규칙안내
피안화
나가토유키 | L:57/A:433
784/4,030
LV201 | Exp.19% | 경험치획득안내[필독]
추천 0-0 | 조회 157 | 작성일 2021-03-06 23:43:35
[서브캐릭구경OFF] [캐릭컬렉션구경OFF] [N작품구경OFF]
*서브/컬렉션 공개설정은 서브구매관리[클릭]에서 캐릭공개설정에서 결정할수 있습니다.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피안화

1783년 5월, 아사마 화산이 폭발했다. 화산 폭발에 의해 엄청난 수의 사상자와 이재민이 발생했지

만, 정말로 두려운 일은 그 이후에 일어났다. 화산 폭발로 인한 환경 재앙이 발생한 것이다.

 

용암과 화산 폭발물이 인근의 논밭을 황폐화 시킨 것은 물론, 화산재와 이산화황이 온 하늘을 가득

덮고 햇빛을 차단한 채 지속적인 산성비를 뿌려댔다. 가뭄과 냉해, 화산재는 모든 곡식을 말라죽였

고 그 후 몇 년간 일본 역사에 남는 대기근이 일어난다. 그것이 바로 텐메이 대기근.

 

당시 남부번에서 기록된 것만 아사자 40,850명, 병사자 23,848명, 가족 전멸로 폐허가 된 집이 10,

545채가 발생하는 등 상상을 초월하는 대기근이 혼슈를 휩쓸었다.

 

급기야는 사람을 죽여 인육을 먹는 참담한 사태가 벌어지고, 그나마도 힘이 약해 남을 죽일 수 없

는 이들은 밤에 갓 묻은 무덤에서 시체를 꺼내 잡아먹고 자신의 아이를 오밤 중에 마을 밖으로 데

리고 나가 죽인 후 그 시체를 가져와 먹는 지옥도가 현실에 펼쳐진다.

 

당시의 참담한 지경을 묘사한 글 중에는「(식솔을 줄이기 위해)다시는 배고프다고 울지도 보채지

도 않겠다며 살려달라고 울부짖는 8살 딸아이를 돌로 내리쳐죽인 후 강에다 내버린」부모들의 이

야기도 나오는 등 그 기아 사태는 가히 아수라에 비할 지경이었다고 한다.

 


 

이대로는 살 수 없다고 생각한 농민들은 집도 땅도 버리고 다른 마을로 가서 먹을 것을 구하려 했

지만 다른 마을들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였고, 여기저기서 난민이 발생하자 그나마 마을의 조직체

가 살아있는 마을들은 인근 마을 사람들이 도적떼로 변하기 전에 아예 먼저 다 죽이자는 이야기마

저 나오기 시작했다.

 

모두 필사적인 상황이었기에 죽고 죽이는 것은 아무런 죄도 되지 않는 상황이었고 아직 힘이 있는

젊은이들과 남자들은 무기를 손에 들고 인근 마을을 습격, 몰살시키곤 했다. 게다가 그렇게 죽인

시체들은 식량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느 시대에나 좋은 사람들은 있기 마련이라 어느 정도 자연재해의 영향을 덜 입은 지역의

마을 중 식량사정이 그나마 나았던 마을 사람들은 난민들을 가엾게 여겨 자신들의 부족한 식량을

내주기도 했는데...

 

문제는 그 이후였다. 오랜 시간 굶은 난민들은 대부분 밥을 먹는 순간 죽었다고. 몇 개월 간이나 변

변한 식사를 챙겨먹지 못한 위에 갑자기 음식을 구겨넣으면 인간은 쇼크사하기 때문이다.

 

난민들은 눈알이 뒤집힌 채 모두 배를 움켜쥐고 괴로워하다 죽었고, 음식을 대접한 농민들 역시 어

쩔 줄 몰라했다.

 

그런 비극이 일본 전체에서 반복된다. 좋은 의도에서 한 생각이 오히려 최악의 결과를 부르자, 마

을 사람들은 하나둘씩 망명해 오는 난민들을 쫒아버리기 시작했고, 마을 인근은 아귀와 아사자로

넘쳐나 그 역시 지극히 처참한 광경이 되어버렸다.

 

당시의 위령비가 세워진 마을은 아직도 일본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그 시대에 대해 자세한

민간의 언급은 대부분 제대로 전승되지 않는다. 너무나 처참하고 모두가 죄를 저지른 그 시대, 그

참담함은 몇 대에 걸쳐서 단단히 입막음을 당했고, 또 그 처참한 사태에 스스로 입을 닫은 이들도

많았기 때문이다.

 

 

 

 

 

 

 

 


* 피안화의 전설

 

 

 


강가에서 보기 쉬운 선명한 붉은색 꽃, 피안화.

 

사실 이 피안화는 독을 가진 식물로, 몇 년에 걸친 텐메이 대기근으로 인해 온갖 곡식과 작물, 나무

껍질마저 다 동이 나자 사람들은 이 독이 있는 꽃마저 먹기 시작했다. 물에 삶거나 살짝 데치면 일

단 어떻게든 먹을 수 있는 정도까지는 독을 뺄 수 있었으므로.

 

그렇게, 식중독의 위험을 안은 채로 이 꽃마저 다 먹은 이들 앞에 최후로 남은 것이 바로 인육. 우

선은 죽은 사람의 고기와 골수를 먹기 시작했는데, 의외로 어린 아이의 머리를 통째로 구운 후 꺼

내먹은 뇌는 의외로 맛있었다고 한다.

 

즉, 인간세상이 아귀도로 타락하기 전, 사람으로서 마지막으로 먹는 음식인데다 피를 방불케하는

선명한 붉은색 꽃을 피우기 때문에 사람들로부터 피안화(彼岸花)라고 불리게 되었다. (피안(彼岸)

이란, 강 건너 저쪽 둔덕이라는 뜻으로, 속세/현세와는 상대적인 개념을 일컫는다)

 

지금은 그저 그 선명하고 매혹적인 아름다움에 이 꽃을 좋아하는 젊은 사람도 많은데다 심지어 꽃

꽃이에도 자주 이용되지만, 비교적 연배가 있는 노인들 중에는 아직까지도 재수 없는 꽃이라며 경

원시 하는 이들이 많다.

개추
|
추천
0
반대 0
신고
    
  [숨덕모드 설정] 숨덕모드는 게시판 최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언제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의견(코멘트)을 작성하실 수 없습니다. 이유: 30일 이상 지난 게시물,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츄잉은 가입시 개인정보를 전혀 받지 않습니다.
즐겨찾기추가   [게시판운영원칙] | [숨덕모드 설정] |   게시판경험치 : 글 10 | 댓글 1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추천 |조회
5407
하남 창고의 기이한 존재
playcast
2019-09-14 0-0 434
5406
하.... [3]
버브리
2015-04-13 1-0 1300
5405
핑구에서 바다표범나오는 편... [11]
케사루
2013-12-24 0-0 3487
5404
필립선장
대갈맞나
2018-12-08 0-0 113
5403
필리핀 원숭이 사건 [6]
히사
2012-02-22 1-2 2497
5402
필리핀 골리앗 박쥐 [3]
시민1
2013-04-22 0-0 2287
5401
피해자 [1]
대갈맞나
2019-02-11 0-0 142
5400
피투성이 여자. [7]
mein
2012-02-22 0-0 1328
5399
피에로 [9]
정찰셔틀
2012-06-11 0-0 1464
피안화
나가토유키
2021-03-06 0-0 157
5397
피부암 걸린 앵무새 [7]
고양이수염
2015-04-29 0-0 2725
5396
피부박리
에리리
2019-11-10 0-0 151
5395
피부가죽을 입고 거리를 활보하는 영국남자(약혐)
곤포귀띤
2016-12-19 0-0 1090
5394
피부 박리
대갈맞나
2019-03-03 0-0 438
5393
피로연 [1]
playcast
2020-06-10 0-0 99
5392
피라미드에 숨겨진 미스터리한 비밀들...
공포의겨
2018-12-22 0-0 267
5391
플스방 실화 [1]
playcast
2020-10-04 0-0 359
5390
프로필사진 이거 어떤가요? 미게분들 [11]
gecko모리아
2013-04-25 0-0 2173
5389
프랑스 아이의 그림 [3]
비수
2012-05-12 0-0 1507
5388
풍선
대갈맞나
2019-01-13 0-0 126
5387
풍력발전기의 위험성 [4]
스톰와치
2014-02-16 0-0 2861
5386
풍경화
대갈맞나
2018-09-29 0-0 192
5385
풍경화
대갈맞나
2019-01-14 0-0 92
5384
풍경화 [1]
나가토유키
2020-02-29 0-0 73
5383
풍경사진
마비노기
2015-08-09 0-0 728
      
<<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
enFree
공지&이벤트 | 접속문제 | 건의사항 | 로고신청 | 이미지신고 | 작품건의 | 캐릭건의 | 기타디비 | 게시판신청 | 클론신고 | 정지/패널티문의 | HELIX
Copyright CHUING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huinghelp@gmail.com | 개인정보취급방침 | 게시물삭제요청